Software Development

[프로그램 빌드 도구]전처리기 (Preprocessor)소스 코드에서 #include, #define 등과 같은 전처리 지시어를 처리하고, 소스 파일을 전처리된 상태로 만든다.전처리 결과는 전처리된 소스 파일로 나타난다.컴파일러 (Compiler)전처리된 소스 파일을 어휘 분석, 구문 분석, 의미 분석을 통해 어셈블리 언어(Assembly Code)로 변환한다.이 과정에서 소스 코드가 어셈블리 코드로 변환된다.어셈블러 (Assembler)어셈블리 코드를 기계어(Machine Code)로 변환하고, 각 소스 파일마다 오브젝트 파일(Object File)을 생성한다.이 파일은 CPU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 코드와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확장자 .obj 또는 .o)링커 (Linker)여러 개의..
시맨틱 버저닝시맨틱 버저닝(SemanticVersioning, SemVer)은 대표적으로 숫자 3개를 사용하는 버전 표기 방식이다. 첫번째 숫자의 의미(1.0.0 → 2.0.0)소프트웨어에 큰 변화가 있을 때 숫자가 증가한다.기존 기능의 호환성이 깨질 수 있는 수준의 큰 수정이나 변경 사항이 포함된다.따라서 기존 사용자나 개발자들은 코드나 사용법을 다시 배워야 할 수 있으며, 새로운 버그나 이슈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메이저 버전 업데이트는 주로 큰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두번째 숫자의 의미(1.1.0 → 1.2.0)전체적인 프로그램의 큰 변화가 있었던 첫번째 숫자와는 달리 부분적인 새 기능이 추가되었을 때 숫자가 증가한다.기존 기능이나 API의 호환성은 유지되므로, ..
우선 패러다임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한 분들은 위 포스팅을 참고하세용.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작성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개념이다.프로그래밍을 할 때, 정해진 사고의 틀 안에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게 만든다. 각 패러다임은 프로그램의 구조, 데이터 처리 방식, 코드 조직화 방법 등에 대해서 그에 맞는 접근 방식을 제공하게 된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 존재하며, 각 패러다임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유한 관점과 방법론을 제시한다.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종류1. 절차적 프로그래밍 (Procedural Programming)명령어의 순차적 실행에 따라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은 절차(또는 함수)의 집합으로 구성특징: 코드의 흐름을 제어하는 반복문, 조건문, ..
달싹이
'Software Development' 카테고리의 글 목록